홈페이지







A++ 자료실

참고문헌 자료실

합격자소서

유아교육대학원

레포트 자료실

문의 게시판





 



 
 

현대사회와 예술의 공공성 [국내 중심의 공공미술][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장소 속의 공공미술과 소통으로서의 공공미술][공공미술의 궁극적 목표][공공미술의 활용 범위][공공미술의 제
 
현대사회와 예술의 공공성 [국내 중심.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분량 : 12 페이지 /hwp 파일
설명 : 현대사회와 예술의 공공성 [국내 중심의 공공미술][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장소 속의 공공미술과 소통으로서의 공공미술][공공미술의 궁극적 목표][공공미술의 활용 범위][공공미술의 제도][공공미술]에 관한 자료 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


▣목차:

▣서론

▣본론:
1.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
-장소 속의 공공미술과 소통으로서의 공공미술
-공공미술의 궁극적 목표
-공공미술의 활용 범위

2. 국내 공공미술의 변화

3.공공미술의 제도

4.한국공공미술이 안고 있는 가장 시급한 문제와 방향
5. 사례분석
6.활동작가
7.교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진행됐었던 공공미술 프로젝트
▣개선 방향 및 결론
▣참고문헌
 
현대사회와 예술의 공공성 [국내 중심의 공공미술][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장소 속의 공공미술과 소통으로서의 공공미술][공공미술의 궁극적 목표][공공미술의 활용 범위][공공미술의 제도][공공미술]


▣서론

1960년대 이후 전개된 환경예술은 오늘날 현대 예술의 중요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환경’은 물리적. 자연적 환경은 물론이거니와 사회적. 문화적 환경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환경예술에는 대지미술, 자연미술, 생태미술뿐 아니라 공공 미술도 포함된다. 이번 발표 주제에 따른 현대사회와 예술의 공공성에서 우리 조는 국내 사례를 맡았다. 사회적. 문화적 환경과 관련된 공공미술의 대한 개념과 정의, 목표, 공공미술의 흐름, 그리고 다양한 국내적 사례와 더불어 활동하는 작가를 살펴보기로 했다.

▣본론

 1.공공미술이란 무엇인가?

공공미술이란 대중들을 위한 미술을 뜻하는 미술용어이다. 도시의 공원에 있는 환경조각이나 벽화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용어는 영국의 존 윌렛이 1967년 《도시 속의 미술 Art in a City》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트디렉터와 화상·큐레이터·평론가·수집가 등 소수 전문가들의 예술적 향유가 일반 대중의 미감을 대변하는 것처럼 만들어 소수의 행위를 정당화시킨다는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일반인들의 정서에 개입하는 미술개념으로서의 공공미술을 고안하였다.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 장소에 설치·전시되는 작품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정된 장소의 설치미술이나 장소 자체를 위한 디자인 등을 포함한다.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