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A++ 자료실

참고문헌 자료실

합격자소서

유아교육대학원

레포트 자료실

문의 게시판





#경영# 마케팅 : (마케팅 전략) 미샤의 초저가 마케팅 전략 성공 요인 분석과 향후 방안 (STP, SWOT, 4P 모두 포함) 보고서 추천!!!

 



마케팅 : (마케팅 전략) 미샤의 초저가 마케팅 전략 성공 요인 분석과 향후 방안 (STP, SWOT, 4P 모두 포함)

(마케팅 전략) 미샤의 초저가 마케팅 전략 성공 요인 분석과 향후 방안 (STP, SWOT, 4P 모두 포함)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Ⅰ. 서론


1000원짜리 만두, 햄버거 이제는 3300원 화장품까지, 요즘 마케팅 시장에서 초 저가 바람이 인기이다. 국내에 저가 바람이 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외환 위기 이후 가격파괴 점이 경쟁적으로 생겨난 적이 있다. 하지만 당시 업체들은 품질과 가격을 함께 내려 "싼 게 비지떡" 이라는 속담을 확인시켜주는 선에서 끝났다.
그러나 최근 불고 있는 초저가 업체들의 공격적인 마케팅은 당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차원에서 시작되고 있다. 유통 마진의 축소는 물론이고 생산 단계부터 철저하게 기획된 원가 절감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 저가 시장의 영향은 화장품 업계도 마찬가지 였다. 한국 여성들만큼 유행에 민감하고 그 취향이 고급스러운 소비자도 없고 해마다 샤넬의 판매가 세계적으로 첫 손가락에 꼽히는 한 마디로 여성들의 소비 씀씀이가 크다고 판단했던 화장품 시장에 "미샤" 브랜드는 기존의 화장품 업계처럼 "이미지"를 팔지 않고 "가격과 성능"을 파는 전략을 선택했다. 그리고 가장 비싼 화장품의 가격은 불과 9800원 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을 소비자에게 제시하였다.
미샤는 2001년에 브랜드를 창립하고 뷰티넷 사이트를 통하여 온라인 시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2002년 3월 이화여대 점을 오픈 한지 불과 2년 만에 120개의 프랜차이즈가 만들어졌다. 미샤는 유리병 대신 플라스틱 용기에 화장품을 담고 종이 포장을 없애고 유통과정도 도, 소매점을 통하지 않고 직접 판매 방식을 통하여 60%의 가격거품을 뺀 대신, 화장품의 질은 떨어지지 않는 방식을 택하였다. 즉 소비자는 미샤 브랜드를 통하여 "싸고 좋은"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원가 절감 원리를 바탕으로 저가 시장에서 성공한 화장품 업계인 "미샤"에 대해 우리 조는 마케팅 조사를 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런데 우리 조원들은 미샤에 대해 조사를 하는 도중 여대생의 한 명으로써 "싸고 좋다"는 미샤 화장품을 정작 구매하는 친구들이 주변에 많지 않음을 발견하고 잠재적이며, 미용에 관한 관심이 많은 거대한 소비시장인 여대생에게 어필 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점을 착안하여 여대생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열 약한 미샤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목표로 조사에 착수하였다. 본 보고서를 통하여 원가 절감으로 "가격파괴"를 실현시킨 미샤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알아보고 향후 동종 업체 등에 대항할 수 있는 차별적이며, 미샤가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보안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 기업 현황

1. 회사 소개와 연혁

(1) 회사소개
1998년 9월 (주)엘트리는 잎스라는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 당시 인터넷은 모든 사람에게 전혀 새로운 형식과 내용으로 다가올 때였으며, 모두에게 익숙한 것이 아니었다. 1998년 당시의 (주)엘트리는 잎스 브랜드를 널리 알릴 목적으로 브랜드 사이트(잎스사이트)를 운영 중이었다.
그 당시 잎스 사이트는 잎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었다. 사실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이전에는 작은 규모의 회사가 고객의 소리를 바로 듣는 것만 해도 많은 비용이 들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잎스 사이트는 게시판에 글을 올리고 또 활동도에 따라 잎스 화장품의 정품을 드리는 작은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 당시에는 관리자가 손쉽게 회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었기 때문에 회원들의 활동도 체크 및 관리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밖에 할 수가 없었다. 이렇게 낙후된 환경에서 이벤트가 몇 달이 진행되면서 매달 보내야 하는 화장품의 양이 많아졌다.
(주)엘트리는 화장품 제조사였기에 제조에 들어가는 경비보다 배송에 들어가는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 당시 화장품을 배송하는 비용이 3,000원 정도였다.
어쩔 수 없이 회원에게 화장품 가격은 걱정이 없지만 배송비가 부담되어 더 이상 이벤트를 진행할 수 없다는 공지를 남기게 되었다. 사실 화장품의 원재료 비용은 화장품 가격에 비하여 황당하다고 말할 정도로 저렴하다. 그렇기에 화장품의 가격은 걱정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 후 이러한 공지가 나가고 나서 많은 회원들이 “그렇다면 배송비를 우리가 부담하겠다"라는 내용의 글을 올리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미샤가 탄생하게 되는 아이템이 만들어 졌다.
배송비 3,000원을 회원들이 부담하겠다고 했으니 그렇다면 차라리 하나의 제품을 만들어 3,000원만 내면 누구든 마음 놓고 받아볼 수 있게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현재의 미샤가 탄생하게 된다.
포장은 철저히 단순화되었고 배송은 등기우편을 원칙으로 했다. 용기는 포장과정에서 파손이 되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전부 교체를 했다. 그리고 제품 값을 정하지 않고 제품 당 배송료 3,000원만 내면 어떤 제품이라도 받을 수 있었다. 물론 그때부터 포인트제도가 있었는데, 포인트가 없다면 화장품을 받을 수 없는 그런 구조였다. 미샤의 가격 3,300원은 이렇게 정해졌다.(여기서 상승된 300원은 부가세이다.)
1999년에는 테스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 때의 헤드카피가 "게시판 읽고 쓰면 화장품이 공짜~" 였다. 이것으로 “미샤”라는 온라인 화장품 브랜드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뷰티넷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제품도 6~8가지 밖에 없었지만 회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그리고 안정적이지 못한 서버상의 기술적인 문제와 더불어 회원들의 폭발적인 반응으로 서버를 다운시키기 일쑤였다. 이렇듯 회원들의 폭발적 반응에 고무되어 2000년 마침내 정식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3년 6개월이 지난 오늘 뷰티넷은 많은 부분에서 안정화되었지만 아직도 개발하고 수정하고 할 부분이 많이 있다.
초창기 뷰티넷은 회원들의 제안으로 제품을 개발하였는데 그것이 일상화되어 있었고 뷰티넷 매니아라는 작은 소모임을 만들어 신제품과 개선 요소에 대해 회원들과 지속적이고 면밀한 의사소통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품평단이라는 소모임을 통하여 신제품에 대한 제품력을 평가받고 가격까지 제안을 받았다.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07016&sid=&key=%B8%B6%C4%C9%C6%C3

 

 
 



[문서정보]

문서분량 : 5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마케팅 : (마케팅 전략) 미샤의 초저가 마케팅 전략 성공 요인 분석과 향후 방안 (STP, SWOT, 4P 모두 포함)
파일이름 : (마케팅 전략) 미샤의 초저가 마케팅 전략 성공 요인 분석과 향후 방안 (STP, SWOT, 4P 모두 포함).hwp
키워드 : 마케팅,전략,미샤,초저,성공,요인,과,향후,STP,SWOT
자료No(pk) : 11007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