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A++ 자료실

참고문헌 자료실

합격자소서

유아교육대학원

레포트 자료실

문의 게시판





#경영# 마케팅 : The Place,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업로드 추천!!!

 



마케팅 : The Place,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The Place,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CONTENTS

캐주얼 다이닝 카페의 기원-디저트 카페…………………………………P. 3

캐주얼 다이닝 카페의 등장…………………………………………………..P. 4

Casual Dining Cafe …………………………………………P. 4

The Place 광교점의 구성……………………………………………………..P. 6

광교점 (관철동) 상권분석………………………………………………………P. 7

SWOT 분석………………………………………………………………..……...P. 8

마케팅 목표 수립……………………………………………………….………P. 10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P. 11

마케팅 믹스 & 실행 프로그램 수립 ? 루프가든과 연회장…….…P. 13

마케팅 믹스 & 실행 프로그램 수립 ? 배달 서비스……………..…P. 18

결론……………………………………………………………………….………..P. 21







캐주얼 다이닝 카페의 기원- 디저트 카페

1. 대한민국 외식시장 내 디저트 카페의 위치
대한민국 외식업계는 2000년대 초부터 디저트 시장에 새로운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디저트는 소득수준이 높고 트렌드에 민감한 특정 타깃 층에 한정된 외식 문화라는 인식이 높다고들 한다. 따라서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디저트 시장을 논하기에는 성급하다는 시선도 존재한다. 하지만 유럽 및 북미 대륙 국가처럼 국민 소득 2만 달러 이상이 되어야 완전히 정착할 수 있는 디저트 시장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기업형 외식업체들은 발 빠른 시장 추진을 하고 있으며 케이크, 와플 등 특정 디저트 메뉴 군으로 깊이를 추구한 개인 브랜드들이 속속 등장해 향후 성장 가능성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2. 디저트 카페의 흐름
국내에서는 식후 메뉴라는 시간적인 한정성을 갖고 있는 디저트가 카페 스타일의 매장과 결합하면서 잠재적으로는 기호메뉴의 성격을 갖게 된 점이 특징이다. ‘간식 메뉴의 업그레이드 버전’ 혹은 ‘한 끼 식사보다 가벼운 선호 메뉴’로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디저트 메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미분을 거듭하면서 이러한 양상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디저트 문화의 성장은 외식 소비 성향의 변화 안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한 끼 든든히 먹는 무거운 식사보다는 가벼운 식사를 선호하는 추세”라며 “한 끼 식사와 간식의 중간식으로 보다 가볍게 먹을 수 있는 것이 디저트 카페를 찾는 요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디저트 시장의 가능성을 맨 처음 연 곳은 에스프레소 커피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스타일의 카페의 등장으로 서구식 카페 문화가 국내에 유입됐고 소위 말하는 ‘밥값 보다 비싼 커피’는 대중화되었고 케이크(커피빈, 엔제리너스), 프레즐(탐앤탐스 커피), 젤라또(파스쿠치) 등 부가 메뉴의 등장으로 디저트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를 통해 업체들은 전체적인 객단가 상승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의 시너지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었다. -현재 각 에스프레소 커피 브랜드 별 디저트 포함 사이드메뉴의 전체 매출 비중은 20~40%에 육박.

두 번째로 등장한 베이커리 카페는 기존에 갖고 있던 제과·제빵 노하우에 음료 군을 강화한 형태로 디저트 시장에 동참했다.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시장이 대중화됨에 따라 커피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신선한 제품에 대한 니즈가 증가했는데 베이커리 카페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베이커리 카페 역시 고객 니즈에 맞춰 세분화를 거듭하고 있는데 SPC의 던킨도너츠, 파리크라상 카페, 패션5와 CJ푸드빌의 투썸플레이스, 삼양사의 믹스&베이커리 등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던킨도너츠의 커피메뉴는 총 13가지.
에스프레소 커피전문점의 10~15가지 커피 메뉴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고객 선택의 폭을 확장.
패션5는 블랑제리, 파티쉐, 쇼콜라 등 3가지 섹션으로 보다 깊은 구색을 갖춘 것이 특징. 프리미엄 디저트카페를 표방하고 있어 가격대가 높다.
CJ푸드빌은 지난 2002년 유럽풍 케이크&샌드위치 카페를 표방하는 투썸플레이스를 론칭하며 디저트 카페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
카페 뚜레쥬르는 선릉점을 오픈(2003년 1월)하며 기존 테이크아웃 형태로 운영됐던 뚜레쥬르에 카페 스타일을 접목하며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시장성 인식. 현재 150여 개점 오픈. 투썸플레이스는 20개점이 직영으로 운영. 판매비율은 케이크(40%), 커피(40%), 샌드위치(20%) 순, 객단가는 9800원 정도.

시장 성장에 따라 디저트 메뉴의 세분화 역시 진행되고 있다. 기존 베이커리라는 틀 안에 있던 도넛, 와플, 크레페 등이 전문점 형태를 지향하는 개별 카테고리로 세분화되면서 디저트 시장의 성장을 더욱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기업이 참여한 도넛 카페는 최근 외형적인 움직임이 가장 두드러지는 시장이다. 현재 도넛 시장은 던킨도너츠(800여개점)를 필두로 2004년 롯데쇼핑에서 선보인 크리스피크림(27개점), GS리테일의 미스터도넛(6개점), 도넛플랜트 뉴욕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던킨도너츠가 압도적인 1위를 고수하고 있지만 후발 업체들이 카페형 매장 스타일과 고가의 고품질 제품 전략으로 나름의 영역을 확보하며 도넛 카페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케이크를 전문으로 하는 디저트 카페의 출현도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3월 삼성동에 오픈한 카페 코핀느 케이크를 비롯해 이촌, 도곡, 한남점을 운영중인 일본식 케이크 전문점 C4케이크팩토리, 천연발효 베이커리와 케이크를 전문으로 하는 미고(12개점) 등은 케이크 카페로 지역 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홍대나 이대, 대학로 등 젊은 층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와플 카페가 주목할 만 하다.
와플 카페에서는 식사 및 간식대용으로 가능하도록 접시에 아이스크림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62555&sid=&key=%B8%B6%C4%C9%C6%C3

 

 
 



[문서정보]

문서분량 : 2 Page
파일종류 : DOC 파일
자료제목 : 마케팅 : The Place,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파일이름 : The Place,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doc
키워드 : The,Place,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자료No(pk) : 11062555